|
|
(사용자 2명의 중간의 편집 85개 숨겨짐) |
1번째 줄: |
1번째 줄: |
| [[분류: 철도]] | | [[분류: 철도]] |
| + | {{철도목록}} |
| | | |
− | == 개요 ==
| + | = 개요 = |
| 훈크래프트 서버에서 운영되고 있는 철도 노선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. | | 훈크래프트 서버에서 운영되고 있는 철도 노선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. |
| | | |
8번째 줄: |
9번째 줄: |
| [[카르스국]]을 지나는 대다수 철도노선은 좌측통행이고([[카르스국]]의 [[한|한마을]]은 우측통행), [[구카이룸국]]을 지나는 철도노선은 모두 우측통행이다. | | [[카르스국]]을 지나는 대다수 철도노선은 좌측통행이고([[카르스국]]의 [[한|한마을]]은 우측통행), [[구카이룸국]]을 지나는 철도노선은 모두 우측통행이다. |
| | | |
− | [[카르스국]] 선로 속도 제한
| + | {{틀:카르스철도속도}} |
| | | |
− | 지하철 : 1 <br/>
| + | =카르스철도공사= |
− | 급행철도(급행전용선로가 있는 지하철) : 2 <br/>
| + | |
− | 일반철도 : 4 <br/>
| + | |
− | 준고속철도 : 5<br/>
| + | |
− | 고속철도 : 9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 지하철(전동열차) ==
| + | |
− | 훈크래프트의 지하철은 광산 수레와 레일을 통해 제작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카르스철도공사===
| + | |
| | | |
| ---- | | ---- |
28번째 줄: |
20번째 줄: |
| | | |
| 5,6,7,8호선의 경우 [[카르스국]]의 도시들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[[고구려특별시]]에서 계획하고 착공한 노선이다. 그래서 2, 3, 4호선에 비해 여러 도시를 지나는 것이 특징이다. | | 5,6,7,8호선의 경우 [[카르스국]]의 도시들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[[고구려특별시]]에서 계획하고 착공한 노선이다. 그래서 2, 3, 4호선에 비해 여러 도시를 지나는 것이 특징이다. |
− | (그렇지만 전 노선이 [[신라특별자치시]]를 필수로 지난다.) | + | (그렇지만 전 노선이 [[신라특별자치시]]를 지나고 있다.) |
| | | |
| 카르스철도공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카르스철도공사]]문서 참고. | | 카르스철도공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카르스철도공사]]문서 참고. |
| | | |
− | ====[[1호선]]====
| + | =고구려시영철도= |
− | 1호선은 가장 오래된 노선인 많큼 가장 많은 정차역과 가장 긴 노선길이를 자랑하는 노선이다. 평양성역에서 분기되는 루나선, 스타역에서 분기되는 P선 또한 1호선이라 불리기에 이용객들의 혼돈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. 특히 뉴스폰역에서 1호선 본선과 P선의 환승이 가능하기에 어느 1호선을 이용해야하는지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다.
| + | 철도 회사 명칭이 아직 정식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면서, 2022년 7월 즈음하여 사용하려는 분위기로 확산되어 은근슬쩍 결정되었다.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1월 26일 평양성역 북부, 남부역을 합쳐 하나의 평양성역으로 리모델링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8일 신라국제공항역의 리모델링으로 특급노선이 폐지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10"| 1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역번호
| + | |
− | | 역명
| + | |
− | | 일반정차여부
| + | |
− | | 급행정차여부
| + | |
− | | P선 역명
| + | |
− | | P선 역번호
| + | |
− | | 일반정차여부
| + | |
− | | 루나선 역명
| + | |
− | | 루나선 역번호
| + | |
− | | 일반정차여부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01
| + | |
− | | [[카르스시티역]]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09
| + | |
− | | [[신라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0
| + | |
− | | [[신라국제공항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1
| + | |
− | | [[신라포션연구소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2
| + | |
− | | [[카르스신라창고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3
| + | |
− | | [[서라벌항구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4
| + | |
− | | [[이사금항구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5
| + | |
− | | [[이사금공항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16
| + | |
− | | [[신라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117
| + | |
− | | [[카르스국회의사당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118
| + | |
− | | [[평양성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119
| + | |
− | | [[스타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P119
| + | |
− | | [[스타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K119
| + | |
− | | [[금광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120
| + | |
− | | [[헤이데이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P120
| + | |
− | | [[스타공항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K120
| + | |
− | | [[스타데이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121
| + | |
− | | [[삼삼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P121
| + | |
− | | [[데이데이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 L121
| + | |
− | | [[루나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122
| + | |
− | | [[스폰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P122
| + | |
− | | [[한서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123
| + | |
− | | [[뉴스폰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P123
| + | |
− | | [[뉴스폰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 P124
| + | |
− | | [[곰타운역]]
| + | |
− | | O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※ 2022년 4월 30일, 한마을이 커져감에 따라 카르스철도국에서 '데농역'을 '한서역'으로 승격처리하면서 리모델링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2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 2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G206
| + | |
− | | 남해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07
| + | |
− | | 동해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08
| + | |
− | | 신동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09
| + | |
− | | 월하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0
| + | |
− | | 신라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1
| + | |
− | | 신라포션연구소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2
| + | |
− | | 신라푸른공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3
| + | |
− | | 서라벌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4
| + | |
− | | 신라중앙광장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5
| + | |
− | | 신라공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6
| + | |
− | | 신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S217
| + | |
− | | 신라해변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2월 12일 이사금공항 일대의 빈 공간을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신라공단으로 개발함에 따라 던전역의 역명이 신라공단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2년 5월 21일 팻말 공사,남해국제공항~단비, G.H.A.K역만 카르스중앙선으로 편입, 남해국제공항역의 플랫폼 공사가 완료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3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 3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308
| + | |
− | |신양공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09
| + | |
− | |화랑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10
| + | |
− | |화랑지방법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11
| + | |
− | |화금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12
| + | |
− | |신라중앙대법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13
| + | |
− | |신라중앙광장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14
| + | |
− | |신라시립미술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315
| + | |
− | |히스토리아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10월 10일 화랑지방법원의 건설과 함께 화랑역이 화랑지방법원역으로, 화랑지방법원역이 화랑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28일 히스토리아역이 향후 백제쪽으로 연장할 목적으로 타당성이 평가되어 지하화 공사가 끝났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4월 25일 신양공역에 7호선 이설공사가 완료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8월 18일 신라정부청사역의 역명이 화금항구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4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4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H408
| + | |
− | |한마을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D409
| + | |
− | |한서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0
| + | |
− | |뉴스폰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1
| + | |
− | |SINTEX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2
| + | |
− | |화랑지방법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3
| + | |
− | |협곡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4
| + | |
− | |신라푸른공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5
| + | |
− | |서라벌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6
| + | |
− | |동이사금나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7
| + | |
− | |신라시립미술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8
| + | |
− | |어울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419
| + | |
− | |어울림해안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V420
| + | |
− | |탐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K421
| + | |
− | |청해진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X422
| + | |
− | |큐브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4월 26일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건물이 없는 항만 시설을 나루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동이사금항구역이 동이사금나루역이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8월 14일 신라6층목탑역의 명칭이 서라벌항구역으로 바뀌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0일 화랑지방법원의 건설과 함께 화랑역이 화랑지방법원역으로, 화랑지방법원역이 화랑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2월 22일 협곡역이 재건축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2년 1월 17일 탐라역-큐브역이 준고속철로 연장개통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2년 4월 30일 데농역이 한서역으로 변경, (한마을 자체가 큰 마을이 되었기에 따른 결과이다. 데농역의 뜻은 데이데이 농장역이었으나, 한마을의 서쪽이라는 뜻의 '한서역'으로 바뀌었다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2년 5월 16일 탐라역과 큐브역 사이 청해진역이 개통되었다. (청해진공장은 기존 몹타공장의 기능을 승계하는 방식으로, 골렘농장이 추가될 예정이다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5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5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05
| + | |
− | |신라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06
| + | |
− | |대학로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07
| + | |
− | |신루천역 (신라대학교)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08
| + | |
− | |화랑박스역 (신라시립대학교)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09
| + | |
− | |신라시립대병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10
| + | |
− | |곰타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11
| + | |
− | |뉴스폰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512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(양공역)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513
| + | |
− | |평양성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514
| + | |
− | |몹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515
| + | |
− | |고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16
| + | |
− | |신평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517
| + | |
− | |신라해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V518
| + | |
− | |탐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B519
| + | |
− | |백제창고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4월 28일 5호선 곰타운역-신루천역 구간, 탐라역-백제창고역 구간 추가연장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31일 5호선 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 선로공사가 완료되었다.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↕GA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8호선↑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↑5호선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5호선↓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↓8호선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'''2021년 1월 31일~'''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↕GA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5호선↑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↓5호선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8호선↑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↓8호선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8월 20일 신루천역-신라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역 구간이 연장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2년 5월 11일 신평역의 구조를 다시 리모델링하였다. (-1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6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6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608
| + | |
− | |이사금공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609
| + | |
− | |이사금임업단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610
| + | |
− | |화랑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1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화랑터미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2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평양터미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3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4
| + | |
− | |평중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5
| + | |
− | |평양성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6
| + | |
− | |몹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7
| + | |
− | |버들비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8
| + | |
− | |팜타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19
| + | |
− | |지케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620
| + | |
− | |TnT마을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5월 14일 나무혁명과 함께 이사금나무농장이 [[이사금임업단지]]로 전환됨에 따라 역명도 이사금임업단지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7월 3일 [[고구려특별시]] 몹타일대를 개발하던 중 버들비항구역과 팜타운역 디자인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7월 24일 [[고구려국제공항]]이 리모델링됨에 따라 평광산역이 고구려국제공항 평양터미널역, 고구려공항역이 고구려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8월 4일 '''평'''양'''중'''앙'''항구'''가 추가됨에 따라 평중항구역이 신설, 그 이전의 역사 번호가 재할당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8월 8일 부로 6호선 지선인 G611-1 SINTEX역이 고구려공항철도로 분리및 편입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9월 9일 화랑구청역이 [[신라특별자치시]] 건설계획 변경에 따라 화랑지방법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0일 화랑지방법원의 건설과 함께 화랑지방법원역이 화랑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7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7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09
| + | |
− | |신라전쟁박물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0
| + | |
− | |아카시아마을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1
| + | |
− | |팜타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2
| + | |
− | |버들비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3
| + | |
− | |루네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4
| + | |
− | |고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5
| + | |
− | |카르스국회의사당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716
| + | |
− | |신양공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717
| + | |
− | |화랑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718
| + | |
− | |신라중앙광장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719
| + | |
− | |동이사금나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720
| + | |
− | |선덕나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721
| + | |
− | |월하항구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4월 26일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건물이 없는 항만 시설을 나루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동이사금항구역은 동이사금나루역으로, 선덕항구역은 선덕나루역이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7월 3일 [[고구려특별시]] 몹타일대를 개발하던 중 버들비항구역과 팜타운역 디자인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7월 5일 루네항구의 역사 디자인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9월 9일 화랑구청역이 [[신라특별자치시]] 건설계획 변경에 따라 화랑지방법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0일 화랑지방법원의 건설과 함께 화랑지방법원역이 화랑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4월 25일 신양공역 7호선라인이 B1에서 B2 으로 이설, 8호선라인도 반대편으로 이설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8호선====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8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V810
| + | |
− | |탐라중앙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V811
| + | |
− | |탐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812
| + | |
− | |신라해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813
| + | |
− | |신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814
| + | |
− | |이사금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815
| + | |
− | |화평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816
| + | |
− | |신양공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817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평양터미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818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(양공역)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819
| + | |
− | |헤이데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820
| + | |
− | |스타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821
| + | |
− | |데이데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T822
| + | |
− | |배럭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07월 24일 [[고구려국제공항]]이 리모델링됨에 따라 G817 평광산역이 G817 고구려국제공항 평양터미널역으로 바뀌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31일 8호선 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 선로공사가 완료되었다.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↕GA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8호선↑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↑5호선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5호선↓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↓8호선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'''2021년 1월 31일~'''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↕GA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5호선↑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↓5호선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8호선↑
| + | |
− | !colspan = "1"|↓8호선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4월 25일 신양공역 7호선 라인이 기존 8호선 라인에 이설하자, 8호선라인도 반대편으로 이설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N1호선====
| + | |
− | N1호선은 말 그대로 [[Nether]] 1호선, 즉 지옥에 건설되는 지하철이다. 장점은 지옥좌표 1칸 이동시 [[오버월드]]에서는 8칸 이동 효과를 가지고 있다. 계산시, [[오버월드]] 좌표를 8으로 나누면 지옥좌표가 된다. 거리만큼 크게 단축할수 있으며 아무리 멀리 떨어진 장소라고 해도 지옥게이트만 있으면 바로 이동할수 있다.
| + | |
− | 단점은, [[지옥]]게이트 이동이 약간 느리다는 점과 지옥몹에게 순삭 당할 위험만 빼면 거의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할수 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4"|N1호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역번호
| + | |
− | |역명
| + | |
− | |마을
| + | |
− | |국가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107
| + | |
− | |남해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Kars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108
| + | |
− | |백제역
| + | |
− | |백제
| + | |
− | |Kars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109
| + | |
− | |동해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Kars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110
| + | |
− | |서라벌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Kars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111
| + | |
− | |고구려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Kars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112
| + | |
− | |카르스엔더포탈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Kars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고구려시영철도===
| + | |
− | | + | |
− | ----
| + | |
− | | + | |
− | 철도 회사 명칭이 아직 정식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. | + | |
| | | |
| 2020년 7월 3일 버들비항구역, 팜타운역 리모델링과 함께 정식적으로 고구려시영철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. | | 2020년 7월 3일 버들비항구역, 팜타운역 리모델링과 함께 정식적으로 고구려시영철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. |
620번째 줄: |
31번째 줄: |
| 고구려시영철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고구려시영철도]]문서 참고. | | 고구려시영철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고구려시영철도]]문서 참고. |
| | | |
− | ====신라역사선 SH==== | + | =신라시영철도= |
− | 신라시영철도의 신라예술선에서 분리되어 폐선 예정인 구 신라예술선을 고구려시영철도가 구입·관리를 하기 시작하였다.
| + 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선덕구와 동해구의 개발이 한참일 무렵 카르스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 지나지 않는 지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신라시에서 철도 노선을 계획, 건설 하면서 창립되었다. |
− | 신라역사선으로 개칭됨에 따라 관리주체그룹은 자연스럽게 카르스철도국에서 관리, 고구려시영철도가 유지하기로 합의하였다.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4"|신라역사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H09
| + | |
− | |북평전당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H10
| + | |
− | |신라전쟁박물관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}
| + | |
| | | |
− | ====을지순환선 UL====
| + | 카르스철도공사와는 달리 노선명을 노선이 지나는 지역(신라서평선, 신라동해선 등)이나 노선의 특징(신라순환선, 신라중앙선 등)을 따와서 사용한다. |
− | 카르스철도회사의 최초의 순환노선이자 서버 최초의 고속 순환선이다. 평양,백제,신라,탐라의 주요 핵심지역을 지나는 노선으로 카르스국의 주민이라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이다.
| + | |
| | | |
− | 2021년 5월 24일 정식명칭이 카르스 광역고속순환선으로 정해졌다.
| + | 신라시영철도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[[신라시영철도]]문서 참고. |
| |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=남해도시철도= |
− | !colspan = "4"|을지순환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0
| + | |
− | |평양성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Y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1
| + | |
− | |화평호수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2
| + | |
− | |신라해번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3
| + | |
− | |탐라역
| + | |
− | |탐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4
| + | |
− | |백제창고역
| + | |
− | |백제
| + | |
− | |Y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5
| + | |
− | |어울림해안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6
| + | |
− | |어울림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7
| + | |
− | |히스토리아호수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8
| + | |
− | |동이사금나루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9
| + | |
− | |신라중앙광장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20
| + | |
− | |SINTEX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분기제어가 평양성역, 백제창고역에 설치되어 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을지지선 UH====
| + | |
− | 카르스철도회사의 최초의 순환노선에 설치된 분기제어스위치 이용하여 지선으로 분기시 최종 목적지로 가는 노선을 말한다.
| + | |
− | UH는 을지-한양 마을간 고속화된 지선을 말한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특이하게 백제역부터 백양역 이후 정식개통이 아닌 임시개통이기에 단선으로 개통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4"|을지지선 UH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L14
| + | |
− | |백제창고역
| + | |
− | |백제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H15
| + | |
− | |백제역
| + | |
− | |백제
| + | |
− | |단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H16
| + | |
− | |백제양공역
| + | |
− | |백제
| + | |
− | |단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H17
| + | |
− | |{미개통}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H18
| + | |
− | |서한역([{미개통}])
| + | |
− | |조선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H19
| + | |
− | |한중역([미개통])
| + | |
− | |조선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을지지선 UA====
| + | |
− | 카르스철도회사의 최초의 순환노선이자 서버 최초의 고속 지선이다. 중앙평양과 북평양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고구려시의 주민이라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4"|을지지선A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0
| + | |
− | |평양성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Y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1
| + | |
− | |팜타운역(신라아트센터입구역)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2
| + | |
− | |북평전당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3
| + | |
− | |북평전당후문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4
| + | |
− | |카르스엔더포탈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5
| + | |
− | |북평원시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UA16
| + | |
− | |노틸러스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분기제어가 평양성역에 설치되어 있다. (UL->UA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고구려공항철도====
| + | |
− | 카르스철도회사의 최초의 공항노선이자 서버 최초의 고속 항공철도이다. 고구려국제공항간 고속으로 이동 할수 있으며, 2020년 8월 8일부로 6호선 지선에서 완전히 독립하였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고구려공항철도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A09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 (양공역)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A10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화물터미널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A11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평양터미널역
| + | |
− | |고구려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A12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화랑터미널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GA13
| + | |
− | |SINTEX역
| + | |
− | |신라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31일부로 GA09 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 공항철도라인이 복선화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카르스중앙선====
| + | |
− | 2022년 5월 21일 기존 신라 2호선일부분(G206 남해국제공항역 ~ G204 지학역(G.H.A.K))을 카르스중앙선으로 분리 설치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동시에 남해국제공항역의 플랫폼 변경이 있었다. (개념환승방식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사업주체가 달라 직결식은 어려보이는 단점이 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선로 개량사업을 통해 고속철으로 재개통할 예정으로 보고 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카르스중앙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KC04
| + | |
− | | 지학역(G.H.A.K)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KC05
| + | |
− | | 단비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 KC06
| + | |
− | | 남해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신라시영철도===
| + | |
− | | + | |
− | ----
| + | |
− | | + | |
− | [[카르스국]]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교통국소속의 철도노선으로 신라시내 주요 지점의 연결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철도노선이다.
| + | |
− | 카르스철도공사의 노선들과 다르게 노선명은 노선의 기점과 종점의 글자를 따서 만든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신라시영철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신라시영철도]]문서 참고.
| + | |
− | [[파일:신라시영철도 노선도.png|1300픽셀|섬네일|왼쪽|신라시영철도 노선도 (2020.11.22ver)]]
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| + | |
− | -
| + | |
− | ====선덕순환선====
| + | |
− | 신라시영철도의 최초의 노선이자 서버 최초의 순환선이다. 선덕구의 주요지역을 지나는 노선으로 선덕구의 주민이라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이지만 그외지역의 주민이라면 딱히 이용할 일이 없는 노선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(선덕구 주민도 신라순환선이나 동숲선, 신라중앙선을 더 많이 이용할 수도 있다.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선덕순환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07
| + | |
− | |월정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08
| + | |
− | |선덕시장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09
| + | |
− | |선회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10
| + | |
− | |선덕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11
| + | |
− | |선덕공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12
| + | |
− | |월하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C13
| + | |
− | |신라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원래 선덕순환선이 신라국제공항역-선덕역구간이 개통한 뒤 선덕역에서 선덕구 쪽으로 연장되어 역번호가 작아지게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이사금순환트램====
| + | |
− | 신라시영철도에서 선덕순환선과 같이 이사금지역에도 순환선을 만들려고 했으나 이사금구의 지하는 수 많은 철도노선이 있어서 새로운 노선을 만들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최초로 트램형식으로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광장 주변을 순환하는 현재의 이사금순환트램이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이사금순환트램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0
| + | |
− | |이사금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1
| + | |
− | |동숲구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2
| + | |
− | |이사금11층석영탑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3
| + | |
− | |동이사금나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4
| + | |
− | |광장삼거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5
| + | |
− | |신라중앙광장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6
| + | |
− | |신라지리관측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7
| + | |
− | |이사금임업단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T18
| + | |
− | |신라중앙대법원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4월 26일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건물이 없는 항만 시설을 나루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동이사금항구역이 동이사금나루역이 되었다.<br/>
| + | |
− | 2020년 5월 14일 나무혁명과 함께 이사금나무농장이 이사금임업단지로 전환됨에 따라 역명도 이사금임업단지역으로 변경되었다.<br/>
| + | |
− | 2021년 4월 11일 이사금공항의 영업종료와 함께 이사금순환트램의 이사금공항역이 신라지리관측원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신라중앙선====
| + | |
− 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신평구, 남해구를 제외한 모든 구를 지나는 노선으로 신라시영철도의 노선중 주요노선중 하나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신라중앙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9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화랑터미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8
| + | |
− | |SINTEX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7
| + | |
− | |신라시립대학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6
| + | |
− | |협곡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5
| + | |
− | |서라벌농업단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4
| + | |
− | |신라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3
| + | |
− | |서라벌구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2
| + | |
− | |동숲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1
| + | |
− | |동숲구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10
| + | |
− | |선덕나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09
| + | |
− | |선덕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08
| + | |
− | |선덕시장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07
| + | |
− | |사동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06
| + | |
− | |동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05
| + | |
− | |동해신라호텔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J04
| + | |
− | |동해공항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4월 26일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건물이 없는 항만 시설을 나루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선덕항구역이 선덕나루역이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2월 22일 협곡역이 재건축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신라서평선====
| + | |
− | 신라시영철도의 노선중 유일하게 시외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신라서평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08
| + | |
− | |협곡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09
| + | |
− | |신라푸른공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0
| + | |
− | |신라시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1
| + | |
− | |신라중앙대법원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2
| + | |
− | |이사금임업단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3
| + | |
− | |화평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4
| + | |
− | |카르스타워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2
| + | |
− | |신평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신라서평지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4-1
| + | |
− | |신평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4-2
| + | |
− | |카르스국회의사당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P14-3
| + | |
− | |평양성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2020년 5월 14일 나무혁명과 함께 이사금나무농장이 이사금임업단지로 전환됨에 따라 역명도 이사금임업단지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0일 화랑지방법원의 건설과 함께 화랑지방법원역이 화랑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1월 10일 [[고구려특별시]]의 평양성역 공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신평역에서 신라예술선과 직결운행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고, 기존 신평역-평양성역 구간은 신라서평지선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2월 12일 신라정부청사역이 신라중앙대법원역으로 변경되었다. (역명은 변경이지만 3호선 역사와 함께 보면 신라중앙대법원역으로 편입되었다는 표현이 조금더 적절하다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2월 22일 협곡역이 재건축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4월 25일 고구려국제공항 화랑터미널 플랫폼 변경 공사가 있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4월 26일 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이 연장 개통되었다. 특이한 점은 화랑터미널~평양제2터미널구간이 고속철화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7월 25일 화랑박스역-고구려국제공항 평양제2터미널역 구간이 폐선되어, 종착역이 화랑박스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7월 26일 종착역이 협곡역으로 변경되면서 이후구간이 폐선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2년 5월 11일 신평역의 구조를 다시 리모델링하였다. (천장 보수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신라동해선====
| + | |
− | 신라동해선이 개통할 당시에는 동해1호선이라는 이름으로 동해도시철도소속으로 개통하였으나 이후 신라중앙선의 연장과 함께 신라시영철도에 동해도시철도가 편입되되면서 동해1호선에서 신라동해선으로 노선명이 바뀌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신라동해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D09
| + | |
− | |보름호수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D10
| + | |
− | |신동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D11
| + | |
− | |동해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D12
| + | |
− | |동해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D13
| + | |
− | |동해신라호텔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D14
| + | |
− | |그믐해변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신라바다선====
| + | |
− | 동해구에서 남해구를 연결해주는 노선으로 아름다운 바다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노선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신라바다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B10
| + | |
− | |동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B11
| + | |
− | |그믐해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B12
| + | |
− | |신라온천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B13
| + | |
− | |남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B14
| + | |
− | |남해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신라순환선====
| + | |
− 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주요지역을 연결하기 위해서 계획된 노선이다. (그런데 이노선도 신평구, 남해구는 지나지 않는다.) 서버최초로 전구간 복복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전구간 급행노선이 있는 노선이다. 원래는 일반, 준급, 급행, 특급 총 4개의 등급으로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아직 일반, 급행 2개 등급만 운행중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4"|신라순환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역번호
| + | |
− | |역명
| + | |
− | |일반정차여부
| + | |
− | |급행정차여부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0
| + | |
− | |카르스신라창고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1
| + | |
− | |신라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2
| + | |
− | |월하항구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3
| + | |
− | |중앙천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4
| + | |
− | |동해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5
| + | |
− | |신동해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6
| + | |
− | |사동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7
| + | |
− | |사동천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8
| + | |
− | |선회루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19
| + | |
− | |선덕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0
| + | |
− | |동숲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1
| + | |
− | |신라시청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2
| + | |
− | |이사금항구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3
| + | |
− | |신라중앙광장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4
| + | |
− | |신라시립미술관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5
| + | |
− | |히스토리아호수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6
| + | |
− | |어울림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7
| + | |
− | |신라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8
| + | |
− | |화평호수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29
| + | |
− | |화평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30
| + | |
− | |신양공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31
| + | |
− | |고구려국제공항 화랑터미널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32
| + | |
− | |SINTEX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33
| + | |
− | |신라시립대학교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L34
| + | |
− | |신라캠핑장역
| + | |
− | |O
| + | |
− | |X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8월 12일부로, 고구려나무농장이 양공임업단지로 승격됨에 따라 양공임업단지역으로 바뀌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7월 25일 양공임업단지역과 신양공역간 환승통로 연결로 통해 양공임업단지역이 신양공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신라예술선====
| + | |
− | 신라예술선은 [[신라아트센터]]와 신라시립미술관을 연결하는 노선이다.
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신라예술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09
| + | |
− | |북평전당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0
| + | |
− | |신라아트센터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1
| + | |
− | |신라아트센터후문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2
| + | |
− | |신평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3
| + | |
− | |신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4
| + | |
− | |동신라공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5
| + | |
− | |신라시립미술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6
| + | |
− | |선덕구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SA17
| + | |
− | |맨덜리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7일 [[맨덜리 씨어터]]의 완공과 함께 카르스전당과 [[신라아트센터]], [[맨덜리 씨어터]]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변경되면서, 신라전쟁박물관역 노선이 폐선 되고 신라아트센터역에서 카르스전당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8일 카르스전당이 [[북평전당]]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역명이 카르스전당역에서 북평전당역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0월 19일 신라시립미술관역에서 맨덜리역구간이 개통하였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1월 선덕구청역에서 백제사비선과 직결운행을 시작하였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11월 10일 평양성역 공사와 함께 신라서평선과 직결운행을 시작하였다. 선덕궁역이 북선덕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26일 북선덕역이 선덕구청역으로 기능을 이전하고 폐쇄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= 동숲선 ====
| + | |
− | 동숲선은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현동숲구를 만들면서 건설된 노선인데 현재 소속이 애매한 노선이 되었다. 처음 건설될 당시에는 카르스철도공사밖에 철도기관이 없었지만 이후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행정기관 개편을 통하여 신라시영철도를 새로 만들며 동숲선은 카르스철도공사소속인지 신라시영철도소속인지 애매한 상황에 놓여있다. (현재는 카르스철도공사 소속으로 보는 것이 맞다. 신라시영철도에서 제작한 신라시영철도노선도에 동숲선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.)
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동숲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AX11
| + | |
− | |서라벌항구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AX12
| + | |
− | |동숲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AX13
| + | |
− | |선덕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AX14
| + | |
− | |선덕나루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AX15
| + | |
− | |히스토리아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0년 4월 26일 [[신라특별자치시]]에서 건물이 없는 항만 시설을 나루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선덕항구역이 선덕나루역이 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부로 신라시영철도 소속 노선으로 변경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2021년 1월 8일 신라국제공항역의 리모델링과 함께 서라벌항구역-신라국제공항역 간 노선이 폐선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남해도시철도===
| + | |
− | | + | |
− | ----
| + | |
| | | |
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최남단인 남해구에서 철도사업을 하고 있는 기관이다. 남해도시철도의 노선은 전용선로가 있는 트램형식으로 건설된다. | 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최남단인 남해구에서 철도사업을 하고 있는 기관이다. 남해도시철도의 노선은 전용선로가 있는 트램형식으로 건설된다. |
| | | |
− | ====남해공항철도====
| + | 남해공항철도가 있었으나, 남해구 재건설 사업으로 인하여 폐선되었다.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남해공항철도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A10
| + | |
− | |남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A11
| + | |
− | |남해해변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A12
| + | |
− | |남해국제공항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NA13
| + | |
− | |남해공항역
| + | |
− | |}
| + | |
| | | |
− | ===백제시영철도===
| + | =백제시영철도= |
− | | + | |
− | ----
| + | |
| | | |
| 현재 [[신라특별자치시]] 동북쪽에 건설중인 백제시에서 운영하는 철도 기관이다. | | 현재 [[신라특별자치시]] 동북쪽에 건설중인 백제시에서 운영하는 철도 기관이다. |
| | | |
| 백제시영철도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[[백제시영철도]]문서 참고. | | 백제시영철도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[[백제시영철도]]문서 참고. |
− | ====백제신백선====
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|
− | !colspan = "3"|백제신백선
| |
− | |-
| |
− | |BS10
| |
− | |신라역
| |
− | |-
| |
− | |BS11
| |
− | |어울림해안역
| |
− | |-
| |
− | |BS12
| |
− | |미추홀항구역
| |
− | |-
| |
− | |BS13
| |
− | |백제창고역
| |
− | |-
| |
− | |BS14
| |
− | |백제역
| |
− | |-
| |
− | |BS15
| |
− | |미추홀천역
| |
− | |}
| |
| | | |
− | 2020년 11월 2일 백제사비선 공사와함께 노선이 연장되며 미추홀천역이 추가 건설되었다.
| + | =나제급행철도= |
| + 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동부지역인 이사금구의 어울림동, 선덕구, 서라벌구 일부, 동해구, 남해구와 [[백제시]]의 미추홀 사이에서 급행철도를 운행하는 회사이다. 선로가 대부분 지상인데다가 거의 직선으로 건설되었다. |
| | | |
− | ====백제사비선====
| + | 나제급행철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나제급행철도]]참고 |
− | [[백제시]]의 사비구와 [[청월스퀘어]]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2020년 11월 2일 1단계 구간인 동신라역에서 미추홀천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. | + | |
− | | + 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+ | |
− | !colspan = "3"|백제사비선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BC08
| + | |
− | |사동천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BC09
| + | |
− | |동신라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BC10
| + | |
− | |청월스퀘어역
| + | |
− | |-
| + | |
− | |BC11
| + | |
− | |미추홀천역
| + | |
− | |}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 고속철 ==
| + | |
− | 훈크래프트의 고속철은 보트와 얼음을 통해 제작되었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철도 시스템의 업데이트로 인해서 고속철도가 일반레일과 파워레일로도 건설되었다. 이 방식으로 가장 처음 만들어진 고속철도가 나제급행철도의 동신라선이다.
| + | |
− | | + | |
− | === 카르스철도공사 ===
| + | |
− | | + | |
− | ----
| + | |
| | | |
− | ==== STX ====
| + | = STX = |
| STX(Silla Train eXpress)는 [[카르스]]국에서 신라국제공항역-신라역, 신라역-평양성역 구간에 설치한 고속철도이다. | | STX(Silla Train eXpress)는 [[카르스]]국에서 신라국제공항역-신라역, 신라역-평양성역 구간에 설치한 고속철도이다. |
| | | |
− | ===== 신라선=====
| + | ==신라선 == |
| 제일 처음 건설된 STX로 처음에는 [[신라국제공항]]역-[[이사금공항]]역-신라역 노선으로 운영되다가 추후 속도 및 [[이사금공항]]역 공사로 인하여 이사금공항역을 무정차 통과하게 되어 지금이 신라국제공항역-이사금공항역 노선이 되었다. | | 제일 처음 건설된 STX로 처음에는 [[신라국제공항]]역-[[이사금공항]]역-신라역 노선으로 운영되다가 추후 속도 및 [[이사금공항]]역 공사로 인하여 이사금공항역을 무정차 통과하게 되어 지금이 신라국제공항역-이사금공항역 노선이 되었다. |
| | | |
| 2020년 11월 폐선되었다. | | 2020년 11월 폐선되었다. |
| | | |
− | ===== 신려선=====
| + | ==신려선 == |
| [[카르스국]]의 수도인 [[고구려특별시]]와 [[신라특별자치시]]를 연결해주는 노선으로 평양성역-신라역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. 같은 구간을 운영하는 1호선, 신라서평선에비해 매우 빠른속도를 보여준다. | | [[카르스국]]의 수도인 [[고구려특별시]]와 [[신라특별자치시]]를 연결해주는 노선으로 평양성역-신라역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. 같은 구간을 운영하는 1호선, 신라서평선에비해 매우 빠른속도를 보여준다. |
| | | |
| 2020년 11월 신라선의 폐선과 함께 폐선되었다. | | 2020년 11월 신라선의 폐선과 함께 폐선되었다. |
| | | |
− | ===== 신문선=====
| + | ==신문선 == |
| [[구카이룸]]의 수도인 [[Moon|문마을]]과 [[신라특별자치시]]를 연결해주는 최초의 노선이다. [[신라국제공항]]역-[[신라북문국제공항]]역을 연결해주는 노선이다. | | [[구카이룸]]의 수도인 [[Moon|문마을]]과 [[신라특별자치시]]를 연결해주는 최초의 노선이다. [[신라국제공항]]역-[[신라북문국제공항]]역을 연결해주는 노선이다. |
− |
| |
− | === 신라시영철도 ===
| |
− |
| |
− | ----
| |
− |
| |
− | ====동해고속선====
| |
− | 신라시영철도에서 만든 STX의 일종으로 [[신라국제공항]]역-신동해역 노선을 운행중이다. 다 STX노선과는 다르게 전 구간 지상노선이다.
| |
− |
| |
− | ===나제급행철도===
| |
− |
| |
− | ----
| |
− |
| |
− |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동부지역인 이사금구의 어울림동, 선덕구, 서라벌구 일부, 동해구, 남해구와 [[백제시]]의 미추홀 사이에서 급행철도를 운행하는 회사이다. 선로가 대부분 지상인데다가 거의 직선으로 건설되었다.
| |
− |
| |
− | 나제급행철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[[나제급행철도]]참고
| |
− |
| |
− | ====동신라선====
| |
− | [[백제시]]의 중앙역인 백제역과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중앙역인 서라벌구청역과 [[신라특별자치시]]의 남해구의 남해역을 연결해주는 노선이다.
| |
− |
| |
− | {|class = "wikitable" "stlye= text-align:center;"
| |
− | !colspan = "4"|동신라선
| |
− | |-
| |
− | |NJ10
| |
− | |백제역
| |
− | |-
| |
− | |NJ11
| |
− | |동신라역
| |
− | |-
| |
− | |NJ12
| |
− | |신동해역
| |
− | |NJ12-1
| |
− | |서라벌구청역
| |
− | |-
| |
− | |NJ13
| |
− | |남해문화센터역
| |
− | |-
| |
− | |NJ14
| |
− | |남해역
| |
− | |-
| |
− | |}
| |